본문 바로가기

공부이야기/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27회 해설 6~10번

 

어제는 27회 1번~5번 해설을 해드렸는데요.

이번 포스팅은 6~10번 문제 해설입니다.

그럼 함께 한국사 퐈이어~~~ 해 보실까요???

 

 

 

 

 

정답 : (이불병좌상)

() = 발해

키워드 : 러시아 연해주에서 온돌 유적이 발굴 되었다.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임.

= 고구려(금동명가칠년명여래입상) = 통일신라,

= 삼국시대의 반가사유상, = 고려(광주 춘궁리 철불)

 

 

 

 

정답 :

: 지증왕 (신라)

키워드 : 우경이 시작, 이사부를 군주로 임명.

= 원성왕(통일신라), = 신문왕(통일신라), = 내물마립간 = 법흥왕

지증왕의 업적

동시전 설치, 순장을 금지. 이사부로 하여금 우산국(울릉도)을 복속.

주와 군을 설치하여 군주를 파견.

 

 

 

 

정답 :

() = 석가탑, () = 다보탑

. ()는 감은사지 3층 석탑의 양식을 계승 함.

. 석가탑에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발견되었음.

. 다보탑은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탑 양식을 벗어남. 그러므로 은 틀린 지문.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탑 양식을 따른 것은 ()인 석가탑.

. 사진에서 보이지 않기에 오답처리를 했지만..뭔가 찜찜함이 남는 지문입니다.

통일신라시대의 탑 양식은 2중 기단에 3층 석탑의 모습을 하고 있답니다.

 

 

 

 

 

정답 :

= 궁예

키워드 : 신라 왕족의 후예, 양길의 휘하에서, 후고구려를 세움.

= 진흥왕, = 신문왕,= 백제 무왕, = 태조 왕건

 

진흥왕 은 북한산 순수비 외에도 적성비와 대가야를 정복 후 창녕비등 다양한 업적을 기리는 비를 세웠습니다. 또한 거칠부에게 명하여 국사를 편찬하게 하였지요. 그리고 화랑도를 개편 하기도 했답니다.

신문왕 은 문무왕의 아들로 신라가 삼국통일을 한 후에 내부적으로 혼란을 격자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을 했어요. 녹읍을 혁파하고 정전을 하사하였지요. 또한 상대등의 권한을 약화시키고 집사부를 강화하였답니다. 거기다 6두품을 등용하며 인재를 선발하고, 유학을 장려 하기도 했지요. 그리고 신문왕 시기에는 김흠돌이 난을 일으키기도 했습니다.

백제무왕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서동이에요.(서동요. 이보영이 나왔던 드라마지요^^;;) 한 때 익산에 미륵사지 석탑을 세우며 익산으로 도읍을 옮기는 천도를 시도했지만 신하들의 반발로 천도하지는 못했어요.

고려를 건국한 태조왕건은 우리가 아는 것처럼 많은 업적을 남겼답니다. 왕권을 강화하고 지방 호족을 다스리기 위해 호족의 자녀와 결혼을 하는 혼인정책을 펴지요. 또한 사심관제도기인제도를 통해 신하들의 복종(?!)을 이끌어냈답니다. 거기다 큰 공을 세운 신하에게는 본인과 똑같은 성인 씨를 하사하는 사성정책을 펼치기도 해요. 그 외에도 서경(평양)을 아주 중요하게 생각했지요. 태조왕건 시기에는 국경이 청천강에서 영흥만까지로 넓혀졌답니다. 또한 신하를 가르치는 정계계백료서, 그리고 왕에게 고하는 훈요10가 태조왕건시기에 편찬되었어요.

 

 

 

 

 

정답 :

토지제도 : 경정전시과

키워드 : 문종 30, 양반전시과를 다시 고쳤다.

= 과전법 (고려말 공양왕~조선초기), = 조선시대,

= 역분전(태조 왕건), = 녹과전(고려말)

녹과전이란?

녹과전은 관리들의 생활보장책으로서 마련되었지만, 대몽항쟁을 마무리 지은 고려 조정이 새로이 체제정비를 꾀하는 가운데 설치된 것이다.

[녹과전에 대한 출처는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을 참고했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시면 녹과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3763&cid=46621&categoryId=4662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27회

6~10번 까지 해설을 해드렸어요.

 

밑에 주석을 다는 것 처럼 이렇게 공부를 하는 것이 제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1급을 취득한(?!) 저의 방법이랍니다.

역시 중요한 것은 키워드!!!

 

 

해설을 보시다가 이상한 부분이 있거나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제가 강사나 전문가가 아닌지라..

단지 저의 공부방법을 공유하며 해설을 해드리는것이니까요.

 

알려주시면 바로바로 수정 하겠습니다~^^